_K4A2255.jpg

The damp basement working space in Mullae was poorly ventilated. By passing through the exit from Mullae subway station, my daily routine started with the mundane scene of a high-rise urban cityscape that lining in parallel with the iron foundry district. This month-long journey was to set off for pondering the regionality of Mullae. What came into view, however, was that continuation of every ‘relation’ in life is corresponded to the matter of its labour. Therefore, as a roaming alien whose title in artist, I was in charge of considering a solution for the relational distance that had happened in this regional culture.

My work development procedure in Mullae had to be in a different way than it used to be. External interaction was important, as long as the regionality had to come across in the first place. Even with this unused progression, the month in Mullae was a pleasant experience. A few of ironworkers that I encountered with during the process of mural painting were interested in  what I was doing, and such the exchange of conversation was settled down as stable relationships. They sometimes came down to the basement and nagged like a slight banter at me with saying ‘what on the earth could this be an art?’ while they were very appreciative of artist’s efforts on living in a harsh life. The day when I showed up late than an usual schedule, they kibitzed me that the way of their greeting, just same as the delightful welcoming smile in the middle of the work when they saw my waving greeting hands. As time went by, I could sense that there were some kind of warm fellowship came up between myself and those iron district neighbors. Yet again, ‘relations’ of life and the matter of its ‘labour’ caused resonance of my sight while to accustom myself to the rugged and sharp roar through the daily city noise.

It was pretty interesting but weird to look up on the internet about Mullae during the progression of work. There were many of essay formatted posts that had main phrase with ‘the beautiful encounter of wage earners and arts.’ However, most of the iron workers in Mullae were not ‘wage earner’ but more like self-employed businessman who run their own iron foundries. Fragmented information from mass media is often solidified to obstruct of vision towards sensing the whole, and perhaps the ‘dissonance’ may be the reflection of it. Awareness, consequently, has fallen under the mass media’s influence. In fact, ‘arts’ in Mullae is a media that a platform which allows every individual of life to commune with one another. However, there were some awkward impression on using the word ‘arts’ with ‘wage earner,’ in terms of flattening every individuals by giving a definition to render a symbolic purpose. In case of this, therefore, ‘arts’ might easily be misread in our perception as a superior concept to ‘wage earners.'

The participation of electric device or mass media in our sensory system has been getting louder, and it exerts a strong influence to our intuition. I feel as if I was supposed to hand my sensory system over to electric media. This is very awful, and it is not just because of causing displeasure but being in dread of losing humanity. So, I’ve tried to defend myself from all this electric media circumstance rather than being an early adapter — consequently, I am a smart phone user who don’t manipulate it smart. My defensive attitude towards electric media is that because a fragmented image often represents the whole scene of life, and it distorts a perspective against my will. Besides, those drifting fragmented images are solidified as reality when it is at anchor in condition of insensibility. After all, it remains as a rigid line in our perception that draws an ultimate distance in relations of life and society. Obviously, therefore, concern is being voiced about mass media that distorts a good intention of ‘arts’ to fade Mullae's regional culture away from our sensory system.  

Interestingly, the character of iron sheet was a proper material that could be representative of such circumstance. The solid formation of iron sheet seemed like a ground that no one ever tries to touch, just as the rigid line across our perception. The basic component of iron is actually vulnerable to air, so it has to be gone through with particular process layering a film on a surface to prevent its oxidation. My daily labour in Mullae was concentrated on grinding the layer unlike the iron workers who mainly put effort into welding the surface to attach pieces together. Thus, unexpectedly, such kind of dissonance was spun off from my total opposite gesture to the iron worker’s movement. Ironically, for some reason, however, a harmonic balance between me and the neighbors was in bloom within the dissonance. Those opposite concentration was crossing to make a junction  during the process of my work. The painting collage work, <54, Mullae 3rd street>, was made out of cutting a huge long iron sheet into pieces and combining together. Due to the nature of iron, the material required professional skill in a process of manipulation. In the end, the progression was formed in a way of collaboration with the neighbors, the specialist of iron, even until the last moment of nailing the work on the wall — I felt very blessed for having this thankful experience. Especially, the owner of DaeRyuk Industry was a great benefactor all the time during my journey in Mullae.

The project was set off for pondering what a relevant stage of regional coexistence would be like. The month-long journey was, however, more like learning of how to embrace and live with other lives, rather than struggling to fulfill my duty as a participating artist. Just like pollination, I was moved to Mullae, and even with the short period of time, I had very pleasurable labour by permeating myself through the regional culture and life. I wish my labour in coming days would still be existed in society as dissonance that to embrace relations of life for the harmonic balance.

 

습하고 환기도 되지 않던 지하의 작업장으로 가는 길. 문래역 7번 출구를 빠져나오면 왼편에는 익숙한 풍경의 고층 아파트가 즐비하고 낮은 높이의 철공소는 맞은 편 줄이어 자리한다. 한 달 여간의 여정은 문래동이라는 지역성을 다루는 문제로부터 출발하였다. 하지만, 삶의 ‘관계’라는 것과 그 것을 유지하기 위한 ‘노동'적 문제가 크게 다가왔기에 작가라는 직함을 단 표류된 이방인은 관계적 이질감을 해소시킬 방법을 찾아야 했다.

문래동에서의 작업과정은 기존에 내가 해오던 방식과 조금 다른 전개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지역성을 수반하는 프로젝트의 참여작가였기에 외부와의 직접적 관계를 형성하며 과정을 이끌어나가는 작업 태도가 필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래동에서 작업을 진행하던 한 달은 즐거운 시간이었다. 운이 좋게도, 벽화작업을 진행하며 안면을 익혔던 철공소 사장님들이 제법 관심을 가져주셨고 이러한 왕래는 익숙해진 관계로 안착되었다. 간간히 작업하는 지하실로 내려오셔서 익살스럽게 '뭐 이런 것도 작업이라고 한다고' 라며 잔뜩 핀잔을 주시다가도, 철판을 사러 돈을 들고 가면 귀한 돈일텐데 정말 고맙다고 하신다. 평소보다 느즈막히 작업하러 나타나면 길 어디선가 집에나 가지 늦은 시간에 뭣하러 왔냐며 한마디씩 던지기도 하시고, 오다가다 인사를 드리면 일을 하시다가도 '어이!' 라며 반갑게 웃으면서 답해주신다. 이렇듯, 나는 사장님들과 지내는 시간이 쌓일 수록 인간적 유대관계의 형성을 느꼈다.  도시의 소음 사이로 들리는 투박한 듯 예리한 굉음이 낯설지 않을 때 즈음, 새삼 ‘관계’와 ‘노동’의 문제가 경종으로 다가왔다.

작업이 진행되던 중, 인터넷으로 문래동에 대해 찾아본 적이 있었다. 여러 기행문 형식의 글들이 시사하던 어구는 ‘노동자와 예술의 만남’ 이었다. 사실 인터넷에 기재된 것과는 달리 문래동 철공단지의 대다수가 임금 노동자라기보다는 본인의 공장을 가진 당업자다. 어쩌면, ‘불협화음'이 일어나게된 계기는 파편화된 정보가 고착화됨으로서 특정 대상을 향한 제한적 시선이 생겼을지도 모르겠다. 다른 삶의 유형이 다른 사람들이 예술이라는 매개체 속에서 관계를 맺으며 공존하는 개념으로 다가오기 보다 '노동자'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문래동 철공단지의 다양한 개인을 집단 대상화시킨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그와 함께 쓰인 '예술'은 자칫 상대적 개념으로서 인식될 수도 있을 것 같다.

나는 인간의 직관성이 전자기기와 매스미디어로부터 관여되어지는 현상에 불편함을 느낀다. 이 것은 직접적 불쾌감이라기 보다 두려움에 가까운 것 같다. 나의 감각기관들을 하나씩 양도해주는 것만 같은 기분이랄까. 그래서 종종 얼리어댑터가 되기보다는 최대한 외면하는 방법을 택했던 것 같다. 이러한 무의식적인 나의 행태들을 보고 누군가 이야기 했었다. "스마트 폰을 스마트하게 사용하지 못 하는 사람"이라고. 이 개인적인 두려움은 삶에 관계하는 것 들이 이미지화된 파편으로서 표류되거나 혹은 그 파편자체가 삶을 대변하는 옹졸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에 대한 본능적 반응일 것이다. 이렇게 표류된 이미지의 파편들은 무지각 상태를 만나게 되었을 때, 고착화되고는 한다. 나는 이러한 것들이 사회와 삶의 관계에 선(線)을 긋는 현상이라 여겨진다. 시간성에도 관계를 위한 노동에도 좁혀지지 않을 형태로서의 이 선(線)은 우리의 인지 속에 잔존하게 되는 것이다. '예술'이라는 좋은 취지의 명목이, 매스미디어로 인하여 의도치 않게 이미 형성된 문래동의 지역적 문화를 간과시키도록 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된다.

흥미롭게도 철판은 이러한 현상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매체였다. 관계 사이로 그어진 선(線)과 같이, 철판의 견고한 형태는 아무도 밟지 못할 땅처럼 느껴졌다. 하지만, 철을 구성하는 입자는 워낙에 공기중에 산화가 쉬운 성질이라 공정과정에서 부식을 방지하는 막을 두껍게 씌운다. 문래동에서 나의 노동은 이러한 표면을 그라인더로 벗겨내는 것이었고 철공단지 사장님들의 노동은 웰딩기로 꼼꼼히 이어 붙히는 작업이었다. 그러니까 나의 작업과정은 정작 이 곳에서 이루어지는 노동과는 의도치않게도 반대되는 행위, 일종의 불협화음을 만들고 있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 불협화음 안에는 나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들과의 또 다른 화합이 생겨나고 있었다. 이러한 상반된 노동이 만나게된 접점이, 정말 감사하게도, 나의 작업 도중 일어났다. <문래동 3가 54번지>, 이 페인팅 꼴라주는 한 장의 길고 큰 철판을 자르고 붙히는 제작과정을 거치는데, 기술적인 부분에 있어 물리적 한계에 부딪힐 수 밖에 없었다. 철공소 사장님들께 조심스레 도움을 요청하였고, 이 작업은 마지막 벽에 거는 순간까지 협업의 형태로서 완성되었다. 특히, 대륙공업사 사장님께는 감사하다는 말로 표현하기에는 부족할 정도로 나에겐 은인과 다름없는 분이었다.

이번 작업은 관계와 관계, 그 사이로 비교적 배려가 가능한 공존의 지점을 찾고자 함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문래동 철공단지에서의 한 달은 작업을 위한 고군분투였다기 보단 삶의 포용과 공존하는 방식을 배우게 된 시간이라 생각된다. 비록 한달여간의 짧은 여정이었지만, 수분受粉과 같이 나의 일상은 문래동으로 옮겨졌고 그 지역의 삶과 문화에 스며들 수 있어서 재미있는 노동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앞으로 내가 수행할 노동이 삶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할 지 모르겠지만, 화합을 담은 불협화음으로서 사회 속에 표류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수분 受粉>, 2015